728x90
반응형
📖 삼국사기란?
- 제목: 삼국사기 (三國史記)
- 의미: 삼국(고구려·백제·신라)의 역사 기록
- 편찬자: **김부식(金富軾)**과 유학자들
- 편찬 시기: 고려 인종 23년(1145년)
- 형식: 기전체(紀傳體) 역사서, 총 50권
🧠 저자: 김부식
- 고려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
- 고려 인종의 명에 따라 삼국의 흩어진 기록을 정리
- 유교적 가치관에 따라 역사를 재해석
- 철저히 사실 중심의 역사, 정치 중심의 기록을 지향
✨ 삼국유사가 ‘이야기 중심의 설화’라면,
✨ 삼국사기는 ‘사실 중심의 공식 기록’입니다.
📂 삼국사기의 구성
삼국사기는 기전체(연대별 + 인물 중심 서술) 형식을 따릅니다.
권내용
권 1~12 | 신라본기 – 박혁거세부터 경순왕까지 왕들의 연대기 |
권 13~22 | 고구려본기 – 동명성왕부터 보장왕까지 |
권 23~28 | 백제본기 – 온조왕부터 의자왕까지 |
권 29~36 | 열전 – 충신, 효자, 열녀 등의 인물 이야기 |
권 37~50 | 지(志) – 예악, 천문, 오행, 지리, 병법 등 국가 시스템, 제도 정리 (현재는 전해지지 않음) |
🔍 삼국사기의 특징
항목특징
정사(正史) | 국가 차원에서 편찬된 공식 역사서 |
사대주의 시각 | 중국 중심, 유교적 가치관 기반 |
신라 중심적 | 삼국 중 신라의 기록이 가장 방대함 |
정치·전쟁 위주 | 신화나 종교보다는 왕과 국가 운영 기록 강조 |
연대기적 구성 | 사실을 날짜별로 정확하게 기록하려 노력 |
🛡️ 삼국사기의 역사적 가치
✅ 1. 고대사의 ‘사실’을 담다
- 왕의 즉위, 전쟁, 외교, 제도, 반란, 자연재해 등 정치적 사실 위주
- 삼국 각 왕의 재위 기간과 사건을 연대별로 확인 가능
✅ 2. 잃어버린 기록의 복원
- 현재는 사라진 고구려·백제의 사서를 참조해 기록했기 때문에, 해당 나라들의 귀중한 사료로 사용됨
✅ 3. 신라사 정립
- 삼국통일의 주체였던 신라를 중심으로 삼국사를 정리
- 고려 초기 왕조의 정통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의도도 있음
📌 삼국사기의 주요 이야기들
📖 고구려 – 광개토대왕의 정복 사업
“영락 6년, 왕은 백제와 왜를 정벌하고 남쪽을 평정하였다...”
- 광개토대왕이 백제·왜·만주 지역을 제압하며 최전성기를 누린 이야기
📖 백제 – 의자왕의 몰락
“백제왕 의자는 음탕하고 신하의 말을 듣지 않았으며, 결국 나라를 잃었다...”
- 백제가 내부의 부패와 외부의 공격으로 멸망하는 과정
📖 신라 – 김유신의 충절
“김유신은 신라의 군신으로 충을 다하였고, 삼국통일의 대업에 크게 공헌하였다.”
- 김유신의 전략과 충성심이 신라의 통일에 핵심적이었다는 기록
🆚 삼국사기 vs 삼국유사
구분삼국사기삼국유사
저자 | 김부식 (유학자) | 일연 (불교 승려) |
성격 | 정사(공식 역사서) | 야사(이야기 중심 설화집) |
관점 | 유교적 / 정치 중심 | 불교적 / 민간신앙 중심 |
내용 | 연대기 + 정치 사건 중심 | 신화 + 민속 + 불교 중심 |
특징 | 사실성, 기록 정확성 중시 | 상상력, 상징성 중시 |
📝 마무리: 기록된 역사, 삼국사기
《삼국사기》는 당시 유학적 세계관 아래서 쓰인 정제된 역사입니다.
불필요한 신화적 요소를 배제하려는 노력이 보이지만,
그 안에서도 고대인의 생각, 국가 운영 방식, 삼국의 흥망성쇠가 질서 있게 서술되어 있습니다.
📘 삼국사기는 한국사의 뼈대를,
📙 삼국유사는 한국사의 숨결을 담고 있다.
728x90
반응형
'언젠간 유용할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🧘 일연 스님이란 누구인가? (0) | 2025.04.19 |
---|---|
👹 도깨비란? (1) | 2025.04.18 |
📖 삼국유사란? (1) | 2025.04.16 |
🐉 비형랑(鼻荊郞)이란 누구인가? (0) | 2025.04.15 |
🐝 톱날파리(Sawfly)란? (0) | 2025.04.14 |